기반 시설이 완전히 파괴된 대규모 재난현장. <br /> <br />현장에 파견된 구조대원이 스마트폰을 통해 외부와 통신을 합니다. <br /> <br />지상 기지국은 역할을 못 하지만, 위성을 통해 통신이 이뤄지기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차세대 6G 통신은 지상 기지국에 저궤도 위성을 추가해 통신망이 구성됩니다. <br /> <br />대당 10억 원 정도의 통신 위성 200대를 지상 300~600km 궤도에 올립니다. <br /> <br />[백용순 / ETRI 입체통신연구소 소장 : 저궤도 위성을 이용해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는, 그래서 어떤 상황에서도 통신이 끊기지 않게 제공하는 부분이 중요합니다.] <br /> <br />이렇게 되면 음영 지역이 없는 통신이 가능해집니다. <br /> <br />비행기나 배에서도 스마트폰을 쓸 수 있게 되는 겁니다. <br /> <br />통신 지연 현상도 사라집니다. <br /> <br />스튜디오에서 공연을 촬영하면 그 영상을 홀로그램으로 공연장에 실시간 전송할 수 있고, 공연장 영상을 TV나 스마트폰으로 동시에 볼 수 있습니다. <br /> <br />인공지능을 결합한 홀로그램 선생님을 만나 1:1 강의를 들을 수도 있습니다. <br /> <br />6G 통신의 상용화는 2030년쯤 가능해집니다. <br /> <br />특히 5G까지는 선진국이 비전을 만들고 우리는 따라가는 상황이었다면 6G부터는 우리가 세운 비전이 세계적으로 인정받았습니다. <br /> <br />[방승찬 /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원장 : 이것을 유지하고 더 선도해야 할 필요가 있습니다. 현재 6G 통신 개발에 국제표준화 선점, 산업화 견인 등에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.] <br /> <br />평면으로 이어지던 통신망이 이제는 우주공간을 포함한 입체 망으로 바뀌면서, 언제 어디서나 실시간 통신이 가능한 시대가 다가오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YTN 김진두입니다. <br /> <br />촬영기자 | 박민양 <br />자막뉴스 | 박해진 <br /> <br />#YTN자막뉴스 #6G <br /> <br />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34_202311111916269429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